펀드의 종류
펀드의 종류는 구사하는 전략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
시장 초과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전략
펀드에 편입된 기업 100%가
펀드매니저의 리서치를 통해 선택펀드매니저의 펀더멘털 분석에 따라
탄력적이고 능동적인 포트폴리오 운용"수수료를 더 내고 펀드매니저의 판단을 믿는다"
-
지수 대비 초과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전략
특정 주가 지수 초기부터
펀드매니저가 운용철학을 적극 반영설계한 지수를 70% 추종하며
펀드매니저가 30% 적극적인 운용"액티브펀드와 패시브ETF의 장점을 모았다"
-
시장 흐름에 따른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전략
펀드에 편입된 기업 100%가
특정 주가 지수를 구성하는 기업들로 선택특정 지수를 추종하여
수동적인 포트폴리오 운용"수수료를 적게 내고 편입된 전체 종목을 산다"

액티브 ETF의 탄생
특정 지수를 복제하여 운용하는 패시브 ETF에 투자할 경우 해당 특정 지수가 담고 있는 모든 기업에 일괄적으로 투자를 해야하고 그 중 펀더멘털이 우수하지 않은 기업이 편입되어 있을 가능성을 배제하여 특정 기업을 선별하여 투자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ETF의 편입 비중 일부에 대하여 액티브 전략으로 운용이 가능한 액티브ETF는 펀드매니저의 적극적인 운용이 가능한 액티브펀드와 상장되어 거래가 용이한 ETF의 장점을 결합한 상품입니다

액티브 펀드와 액티브 ETF의 차이는?
액티브ETF는 액티브 펀드와 달리 주식 시장에 펀드 자체가 상장되어 있어 투자 방법과 계좌, 수수료 측면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액티브 펀드 |
액티브 ETF |
|
---|---|---|
펀드매니저 |
기업 펀더멘털 분석 및 자산 운용 |
금융 철학에 기반한 지수 설계 참여 |
투자방법 |
자산운용사, 판매사(증권,은행) |
증권사 |
투자계좌 |
일반펀드계좌 |
주식거래계좌 |
수수료 |
선취수수료, 환매수수료* |
증권사 매매 수수료 |
* 메리츠펀드는 메리츠펀드투자앱에서 투자 시 선취수수료가 없습니다
* 메리츠펀드 중 주니어펀드를 제외하고 환매 수수료가 없습니다
* 보수는 펀드별로 상이합니다
패시브 ETF와 액티브 ETF의 차이는?
액티브ETF는 패시브ETF와 달리 추종하는 지수를 펀드매니저가 함께 설계하고 허용되는 괴리율이 높아 펀드매니저의 적극적인 액티브 전략 운용이 가능합니다
패시브 ETF |
액티브 ETF |
|
---|---|---|
펀드매니저의 역할 |
제한적 운용 |
적극적 운용 |
지수 괴리율 |
10% 이하로 유지 특정 기초 지수를 90% 이상 추종 |
30% 이하로 유지 특정 비교 지수를 70% 이상 추종 |
MASTER액티브ETF 체크포인트!
- 액티브 펀드와 ETF의 장점을 결합한 상품
- 펀드매니저의 철학이 반영된 새로운 지수 설계 참여
- 퇴직연금 . ISA . IRP . 주식계좌에서 투자 가능